top of page

나쓰메 소세키 (夏目漱石)

일본 소설가 겸 영문학자. 그의 작풍은 당시 전성기에 있던 자연주의에 대하여 고답적, 관상적(觀賞的)인 입장이었으며, 주요 저서로는《호토토기스(두견)》,《나는 고양이로소이다》,《우미인초》,《도련님》,《풀베개》,《산시로》, 《그후》,《문》,《피안 지나기까지》,《마음》등이 있다.


도쿄[東京] 출생. 본명 긴노스케[金之助]. 도쿄대학교 영문과 졸업. 제1고등학교 시절에 가인(歌人)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를 알게 되었다. 도쿄고등사범학교·제5고등학교 등의 교수를 역임하였다. 1900년 영국에 유학한 후 귀국하여 제1고등학교의 교사로 재직하였고, 1905년에 《호토토기스(두견)》에 《나는 고양이로소이다》(1905∼1906)를 발표하였다. 1907년에 교직을 사임하였으며 아사히[朝日]신문사에 입사하여 《우미인초(虞美人草)》를 연재하고 《도련님》(1906), 《풀베개[草枕]》(1906) 등을 발표하였다. 그의 작풍은 당시 전성기에 있던 자연주의에 대하여 고답적·관상적(觀賞的)인 입장이었으며, 그후 《산시로[三四郞]》(1908), 《그후》(1909), 《문(門)》(1910)의 3부작에서는 심리적 작풍을 강화하였고, 다시 《피안 지나기까지》(1912), 《마음》(1914) 등에서는 근대인이 지닌 자아·이기주의를 예리하게 파헤쳤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재일 조선인 문학

재일 조선인 문학(在日朝鮮人文學)은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계 일본인이 쓴 문학 작품으로, 주로 메이지 시대 이후의 문학에 대해서만 사용된다. 재일 조선인 문학의 시작 현대 일본에서 재일 조선인이 쓴 문학 작품으로는 1883년 이수연이 쓴 작품을 들...

 
 
 
우쓰호모노가타리(宇津保物語)

헤이안 중기에 성립한 전 20권의 장편으로 작가 미상의 모노가타리 작품이다. 작품명은 기요하라노 도시카게(清原俊蔭)의 딸과 나카타다(仲忠)가 큰 삼나무의 공동(空洞, うつほ)에 살고 있던 일에서 유래한다. 그에 더하여 주제가 되고 있는...

 
 
 

Comentários


  • Facebook
  • Twitter
  • YouTube
  • Instagra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