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일본의 노동

일본의 실업률은 1974년에서 1980년까지 1.4∼2.4%의 범위를 유지하여 완전고용을 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완전고용 상태에 있는 일본의 노동력인구는 25년여 정도 기간에 그 분포가 제1차산업에서 제2차·제3차산업으로 크게 바뀌었고, 또 여성 노동력인구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헌법과 노동조합법에 의해 노동자의 노동 3권(三權)이 보장되었다. 1950년에는 일본노동조합 총평의회(總評議會)가 결성되어 반공민주노조로서 노동운동의 중심이 되었으나, 1951년에 좌파가 주도권을 장악함으로써 노동운동은 내부분열과 재편을 되풀이하였다. 그 뒤 1964년에 기존의 3개 우파 조합이 합동하여 전일본노동총동맹(약칭 同盟)이 결성되자 동맹(同盟)과 총평(總評)이 가장 우세한 두 세력을 형성하여 대립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그와 같은 노동조합의 분열·대립에도 불구하고 일본 기업에는 전통적으로 특성 있는 노사관계가 성립되어 왔다. 한번 채용한 종업원을 정년이 되기까지 해고하지 않는 ‘종신고용제’와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서열을 정하는 ‘연공임금제’의 특수한 노사관계가 경제성장을 촉진한 요인이 되었다는 견해가 오늘날 널리 세계적으로 퍼져 있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거품경제로 경기가 침체기에 빠지자 기업체들은 종신고용제를 수정하고 많은 회사들이 정년 이전의 근로자들을 해고하고 새로운 사원을 채용하고 있다. 경제성장과 노동력 부족을 배경으로 임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현재 유럽 선진국의 임금수준에 도달하였으며, 또 주당(週當) 노동시간도 프랑스, 독일, 영국 등과 맞먹거나 오히려 보다 단축되었다. 한편 기업은 노동력 부족에 대처하기 위하여 경영의 합리화나 생력화(省力化)에 비상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런한 변화와 함께 젊은 근로자들의 사고 방식도 변화하고 있어 점차적으로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 줄어들고 있으며 더 나은 조건의 직장을 찾아 직업을 옮기는 경우도 빈번해졌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일본의 성씨

일본은 세계에서 성씨가 가장 다양한 나라 중 하나로, 현대 일본에는 대략 12만 3천여 종 안팎의 성씨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일부에서는 13만여 종~30만여 종이라는 추측도 있고, 성씨 연구가인 니와 모토지(丹羽基二)가 편찬한...

 
 
 

Comments


  • Facebook
  • Twitter
  • YouTube
  • Instagram
bottom of page